본문 바로가기

공부/생물학5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HLA (human leukocyte antigen) 안녕하세요,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인간에서는 HLA (human leukocyte antigen)로 불리는 유전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흔치는 않겠지만 주변에 장기이식이나 조혈모세포 이식을 경험해본 분이라면 매우 익숙하게 들릴만한 유전자일 것 입니다. 생물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T세포(T lymphocyte)에 대해 배우면서 처음 접하게 되는 단어일 것 같네요. 1.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한글로 주조직적합성 복합체라고 부르는 이 용어는 영문 용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를 직역한 단어입니다. major histocompa.. 2022. 8. 3.
TRE promoter 구조와 원리 (Tet-on, Tet-off) doxycycline (tetracycline) inducible gene TRE promoter 구조와 원리 (Tet-on, Tet-off) doxycycline (tetracycline) inducible gene expression system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 그 중에서도 유도성 프로모터 (inducible promoter) 중 하나인 TRE promoter (doxycycline inducible/repressible promot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간단한 용어 정리 tetracycline (tet):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doxycycline (dox): tetracycline 유사화합물 (tet 대신 사용) TetR (tet repressor protein): 단백질, TetO에 결합 TetO (tet op.. 2022. 7. 22.
HEK293, HEK293T, HEK293FT, HEK293A 세포주(cell line)의 차이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transformation, transduction, transfection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그 중 transfection의 후속이라고 할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왔는데요, 전세계 실험실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세포주 중 하나인 인간신장세포주(human embryonic kindey cells, HEK cells)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2021/01/05 - [공부/생물학] - Transformation, transfection, transduction의 차이와 정의 (형질전환, 형질주입, 형질도입)Transformation, transfection, transduction의 차이와 정의 (형질전환, 형질주입, 형질도입)Transformation, trans.. 2021. 1. 12.
Transformation, transfection, transduction의 차이와 정의 (형질전환, 형질주입, 형질도입) Transformation, transfection, transduction은 유전공학을 공부하면서 처음 배울 때 가장 헷갈리는 용어 중 하나이자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되는 용어입니다. 유전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는 PCR일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늘 정리할 유전자 도입의 method들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용어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글의 시작에 앞서 요약하자면 오늘 볼 세 용어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Transformation (형질전환): non-viral DNA을 박테리아에 도입하는 것Transfection (형질주입): non-viral DNA (혹은 RNA)를 진핵세포(특히 mammalian cell)에 도입하는 것Transduct.. 2021. 1. 5.
줄기세포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분류 – 전능성/만능성/다능성 줄기세포와 배아/성체줄기세포 안녕하세요, 오늘은 줄기세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황우석 사태 덕분에(?) 전국민이 줄기세포라는 이름에 익숙해질 수 있었는데요, 줄기세포라는 존재가 널리 알려진 것과는 별개로 우리나라에서 줄기세포 연구는 황우석 사태를 기점으로 크게 침체되기도 했습니다. 요즘에는 어떨까요? 황우석 사태가 2005년이었으니 그로부터 15년이나 지났습니다. 언제나 먼 미래의 얘기처럼 들렸던 세포치료제가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속속들이 상용화되고 있고, 해외의 연구진들은 줄기세포를 이용해서 키메라(chimera)를 제작하거나 장기를 재생시키는 등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연구들을 성공시키고 있습니다. 오늘은 세포치료제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줄기세포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줄기세포의 활용에 대해서.. 2020. 9. 6.